음향/헤드폰 데스크테리어 2021. 2. 16. 01:41
들어서며 한국에서 헤드폰은 꽤 인기가 없는 품목중에 하나이다. 가끔 출퇴근 길이나 공항에서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쓰는 사람을 볼 수 있지만, 그 뿐이다. 음악 감상을 위해서 헤드폰을 구입했다는 사람이 주변에 있나 살펴보면, 헤드폰을 구입해야 하는지 의문을 갖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TV는 내장 스피커로. PC는 PC스피커로. 밖에서는 이어폰을 듣는 것이 대부분의 한국사람들의 모습이다. 헤드폰은 찾을 길이 없다. 헤드폰이 유통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방송국, 음향/영상 스튜디오, 작곡가 등 현업 종사자 경로와 음향이나 클레식 등을 공부하는 학생 경로. 콜센터 등 헤드셋 유통 경로, 게이밍 용도의 유통 경로 정도가 큰 축이고, 음악 애호가에게 유통되는 숫자는 그리 크지 않다. 실제로 이름만 ..
조명/스탠드형 데스크테리어 2021. 2. 15. 02:27
들어가며 천장의 형광등이 전부인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가정에서 간접 조명과 포인트 조명은 일부 인테리어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만 사용하는 전유물이었다. 하지만 그런 대한민국에서도 일정 시기가 오면 포인트 조명을 구입하는 시기가 오니, 바로 자녀들의 입학 시즌이다. 공부를 위해서 포인트 조명- LED스탠드를 사용해 본 기억이 있는 사람이라면 LED 스탠드가 쓸모있었음을 인정할 것이다. LED 스탠드는 꾸준히 더 나은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데스크테리어를 함에 있어 조명은 무척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공부를 하던 책을 읽던 컴퓨터를 하던 조명은 책상 위를 밝혀주는 역활을 한다. 그럼, 어떤 LED스탠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이번 포스팅을 통해 LED스탠드 선택 요령을 알아보자. LED 스탠드에서 제일 중요한..
가전/모니터 데스크테리어 2021. 2. 13. 01:35
와이드 모니터는 21:9 비율을 가진 모니터로써 21:9 비율을 지닌 영상물을 감상할 때 보다 큰 인치에서 감상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LG 34WN650은 34인치 크기의 21:9 와이드 모니터로써 가로 크기가 816.5mm에 달한다. 21:9 모니터의 장점 모니터는 예로부터 영상의 비율에 의해 액정의 크기가 결정되어 왔다. VGA, Composite 시절 패미콤 게임기 등을 사용할 때는 4:3 비율의 모니터를 사용하다가 HD시대가 도래하면서 16:9 비율의 모니터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21:9 비율은 영화관의 영상물의 비율이다. FHD모니터를 씀에도 영상 재생 시 위, 아래가 짤려 보인적이 있을 것이다. 그 영상물은 21:9 비율을 지닌 영상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가전/IT 데스크테리어 2021. 2. 12. 18:25
들어가며 최근 썬더볼트와 USB-C 단자가 지속 보급됨과 동시에 PD(Power Delivery)충전을 기본 제공하는 제품들이 많아짐에 따라 관련 제품들이 속속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은 USB허브일것이다. PD충전기술을 바탕으로 충분한 전력의 공급이 가능해져 기존 USB허브에 비해 더욱 다양한 기능을 허브에 심는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USB허브를 구입해야겠다고 생각하는 유저는 크게 두 분류일 것이다. 첫째는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에 내장된 DEX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이고, 둘째는 썬더볼트만 지원하는 맥북이나 USB-C포트만 지원하는 노트북에서 USB나 SD카드, HDMI, RJ45단자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술한 두 가지 경우 중 노트북에서 USB허브를 ..
가전/IT 데스크테리어 2021. 2. 9. 01:46
마우스는 대게 2개의 버튼과 1개의 클릭이 되는 휠을 지니고 있다. 사실 이정도만 되어도 왠만한 업무는 수행할 수 있다. 이런 마우스는 저렴하게는 몇 천원이면 구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업무용으로 10만원을 넘어가는 마우스가 팔리고 있다. 업무용 끝판왕이라는 바로 이 마우스. 로지텍 MX Master 3 이야기다. 세 번의 리뉴얼로 더욱 완성도 높아진 업무용 마우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마우스는 벌써 세번째 리뉴얼 된 제품이다. 첫번째 작품인 MX Master, MX Master 2s에 비해 MX Master 3는 휠 스크롤이 기계식으로 전자식으로 바뀌었고, 더욱 인체공학적으로 버튼 배열이 바뀌는 등 'MX Master'시리즈의 완성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이 1초에 1천 줄을 스크..